본문 바로가기
기타/금융

[금융 IT]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란?

by 옹쑥이 2025. 2. 20.

EAI(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는 기업 내부의 여러 시스템(코어뱅킹, 카드 시스템, 대출 시스템 등)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연계하여 데이터 흐름을 통합하는 기술이다.

 

금융권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들을 EAI를 통해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데이터 표준화, 실시간 연계, 업무 자동화를 가능하게 한다.


📌 1. 금융 IT에서 EAI가 필요한 이유

은행과 금융기관은 다양한 시스템을 운영하지만, 이들이 개별적으로 동작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 EAI가 없는 경우의 문제점

  • 시스템 간 데이터 불일치: 고객 정보가 여러 시스템에 중복 저장되어 변경 시 일괄 반영되지 않음
  • 비효율적인 연계: 신규 서비스 추가 시 개별 시스템을 직접 연결해야 하므로 개발 비용 증가
  • 운영 복잡성 증가: 시스템 간 데이터 흐름이 복잡해져 장애 발생 시 원인 파악이 어려움

💡 EAI를 도입하면?
모든 시스템 간 데이터 흐름을 중앙에서 관리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해짐
새로운 시스템 추가 시 EAI에서만 연계하면 되므로 확장성이 우수
데이터 변환, 자동화, 실시간 연계를 통해 업무 효율성이 향상


📌 2. 금융권 EAI 구축 예시 (대출 신청 프로세스)

💡 "고객이 인터넷 뱅킹에서 대출 신청을 할 때, 내부 시스템을 연계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보자.

 

✅ 기존 방식 (EAI 없이) – 시스템 간 직접 연결

각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직접 연동해야 하므로 Point-to-Point(1:1 연결) 방식으로 개발됨.

[인터넷 뱅킹 시스템]  →  [대출 시스템]
                        ↘  [신용 평가 시스템]
                           ↘  [카드 심사 시스템]

 

문제점:

  • 시스템이 많아질수록 연결 방식이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움
  • 새로운 시스템 추가 시 모든 연계된 시스템을 직접 수정해야 함

✅ EAI 도입 후 – 중앙 통합 연계 방식

EAI를 도입하면 모든 데이터 흐름을 중앙에서 관리하여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됨.

[인터넷 뱅킹 시스템]  →  [EAI 서버]  →  [대출 시스템]
                                        ↘  [신용 평가 시스템]
                                           ↘  [카드 심사 시스템]
 

EAI 서버가 모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통제하므로, 각 시스템이 직접 연결될 필요 없음
새로운 시스템이 추가되더라도 EAI에만 연결하면 되므로 확장성이 뛰어남


📌 3. EAI의 핵심 기능

EAI는 단순한 API 연결이 아니라, 데이터 흐름을 최적화하고 자동화하는 역할을 한다.

기능설명

기능 설명
데이터 표준화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 형식을 통합(JSON ↔ XML 변환)
메시지 큐를 활용한 비동기 연계 Kafka, RabbitMQ 등 메시지 브로커를 활용하여 시스템 간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
API 연계 REST API / SOAP API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 연계
트랜잭션 관리 XA 트랜잭션(2PC, Two-Phase Commit)을 통해 금융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보안 및 암호화 HSM(Hardware Security Module) 연계, SSL/TLS 적용

 

💡 EAI는 단순한 API 서버가 아니라, 금융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하고 시스템 간 연계를 최적화하는 미들웨어 역할을 한다.


📌 4. EAI 구축 과정 (단계별 흐름)

💡 금융 IT에서 EAI를 구축하는 단계별 흐름을 알아보자.

✅ [1] 고객이 인터넷 뱅킹에서 대출 신청

  • 고객이 웹 또는 모바일 뱅킹 앱에서 대출을 신청한다.
  • 인터넷 뱅킹 시스템은 EAI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고객] → (HTTP 요청) → [인터넷 뱅킹 시스템] → (JSON 요청) → [EAI 서버]
 

EAI 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표준화하므로, 각 시스템이 직접 연결될 필요 없음.


✅ [2] EAI가 데이터를 변환하고 각 시스템과 연계

💡 EAI 서버가 데이터를 표준 형식(JSON/XML)으로 변환한 후, 관련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대출 시스템 연계

  • 고객의 신청 데이터를 EAI → 대출 시스템으로 전달
    신용 평가 시스템 연계
  • 고객의 신용 정보를 조회하여 대출 승인 여부 확인
    카드 심사 시스템 연계
  • 카드 대출이 필요한 경우 신용 카드 정보를 조회
[EAI 서버]
   ├─ (MQ 메시지 전송) → [대출 시스템]
   ├─ (API 호출) → [신용 평가 시스템]
   ├─ (API 호출) → [카드 심사 시스템]
 

EAI는 데이터를 변환하고, 여러 시스템과 병렬로 연계할 수 있음.


✅ [3] 각 시스템이 처리 후 EAI로 결과 전송

  • 대출 시스템에서 고객의 대출 승인 여부 결정
  • 신용 평가 시스템에서 신용 등급 반환
  • 카드 심사 시스템에서 고객의 카드 대출 가능 여부 반환
[대출 시스템] → (JSON 응답) → [EAI 서버]
[신용 평가 시스템] → (JSON 응답) → [EAI 서버]
[카드 심사 시스템] → (JSON 응답) → [EAI 서버]
 

EAI 서버가 모든 응답을 수집하여 통합된 데이터를 만든다.


✅ [4] 최종 결과를 고객에게 전달

💡 EAI 서버는 모든 시스템의 응답을 수집하여 인터넷 뱅킹 시스템에 최종 결과를 전달한다.

[EAI 서버] → (JSON 응답) → [인터넷 뱅킹 시스템] → (화면 표시) → [고객]
 

EAI를 활용하면 시스템 간 연계를 중앙에서 관리하여 대출 신청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다.


📌 5. EAI 구축 시 기대 효과

금융 시스템 간 데이터 흐름을 중앙에서 관리 → 유지보수 비용 절감
시스템 간 데이터 흐름 최적화 → 빠른 금융 서비스 제공 가능
대출 승인, 신용 평가 등의 프로세스 자동화 → 업무 효율성 향상
새로운 시스템 추가 시 EAI에서 연계 가능 → 확장성 우수


📌 결론 – 금융 IT에서 EAI의 중요성

📌 EAI는 금융 시스템 간 데이터 흐름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통합 미들웨어" 역할을 한다.
📌 EAI를 도입하면 데이터 표준화, 실시간 연계, 자동화가 가능하여 금융 서비스 운영이 훨씬 효율적이다.

'기타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공학] 금융시장의 구조 및 자금 흐름  (0) 2024.01.12
[금융 공학] 경제 금융 용어  (2) 2024.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