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념정복💫12

[REACT] 리액트란? 리액트란? 가상 DOM(Virtual Document Object Model)과 JSX(JavaScript XML) 방식으로 동작하는 라이브러리 웹 프레임워크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의 하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해 사용됨 facebook에서 제공해주는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이며,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시 토대로 사용 💫리액트 사용 이유💫 가상돔(Virtual DOM)을 사용해 보다 효율적으로 우리가 원하는 페이지를 브라우저에 빠르게 그려주기 때문 [ JQuery vs React ] 많은 수의 DOM조작을 하지 않는다면 jQuery나 React나 큰 차이 없음 간단한 웹을 만들땐 jQuery는 좋은 반면, React는 보다 정교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 2024. 1. 14.
[PYTHON] 람다(lambda) 형식이란? 람다(lambda) 형식 lambda 매개변수 : 표현식 (lambda x,y: x + y)(10, 20) #30 정렬에서 lambda 사용 key 인자에 함수를 넘겨주면 우선순위가 정해짐 num.sort(key = lambda x : x[0]) num = sorted(num, key = lambda x : x[0]) #[(0, 1), (1, 2), (3, 0), (5, 1), (5, 2)] 비교할 아이템이 요소가 복수 개일 경우, 튜플로 우선순위를 정해줄 수 있음 ** -를 붙이면, 현재와 반대차순으로 정렬 num.sort(key = lambda x : (x[0], -x[1])) num = sorted(num, key = lambda x : (x[0], -x[1])) #[(0, 1), (1, 2), (.. 2024. 1. 11.
[PYTHON] deque에 대해 알아보자 DEQUE : 스택과 큐의 기능을 모두 가진 객체로 출입구를 양쪽에 가지고 있음. 따라서, 스택처럼 사용이 가능하고 큐처럼 사용도 가능함. 1. 스택 구현 스택은 오른쪽 끝(마지막)에서 입출력 append() : 입력 시, 사용 pop() : 출력 시, 사용 2. 큐 구현 왼쪽(처음)에서 입력, 오른쪽(마지막)에서 출력 appendleft() : 왼쪽에 값을 입력 시, 사용 pop() : 오른쪽 출력 시, 사용 append() : 오른쪽에 값을 입력 시, 사용 popleft() : 왼쪽 출력 시, 사용 참고🐣 pop() 리스트의 맨 마지막 원소를 리턴하고 해당 원소는 삭제 pop(i)는 리스트의 i번째 원소를 리턴하고 삭제 i = [0, 1, 2, 3] i.pop() print(i) #[0, 1, 2] .. 2024. 1. 10.
[PYTHON] reverse()와 reversed() 차이 리스트.reverse() : list 함수 reversed(값) : 내장 함수 사용 객체 범위 값 반환 여부 차이 원형 변형 여부 reverse() 리스트에만 사용 값 반환하지 않음 해당 리스트의 원형을 바꿈 reversed() 리스트, 튜플, 스프링, 딕셔너리 객체 반환 해당 객체의 원형을 바꾸지 않음 참고🐣 reversed와 리스트 슬라이싱 비교 [reversed 사용] word = list(map(str, input())) if word == list(reversed(word)): print(1) else: print(0) [리스트 슬라이싱] : 리스트변수[시작인덱스:종료인덱스:step] word = list(map(str, input())) if word == word[::-1]: print(1).. 2024. 1. 9.